닫기

로그인

학회지
The Korean Society of Herpotologists

논문검색

홈 - 학회지 - 논문검색

pISSN: 2005-9019

학술발표대회 초록집, (2023)
pp.19~19

- 한국 내 서식지 유형에 따른 외래거북과 자생거북의 점유율과 발견율 -

최재혁

(전남대학교 생물과학생명기술학과)

박승민

(전남대학교 생물과학생명기술학과)

유중길

(서울여자대학교 화학생명환경과학부)

손상호

(물살이 연구소)

고영민

(제주 양서류 연구소)

성하철

(전남대학교 생물학과)

생물다양성에 대한 위협은 경제적, 환경적, 사회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것 이며, 외래생물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경쟁, 질병 또는 기생충 전이 또한 하나의 원인 이다. 외래생물의 유입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, 이는 한국에서도 마찬가지 다. 한국 내 생태계교란 생물은 현재 37종 중 파충류는 6종으로 모두 거북목에 속하 며, 한국 내 여러 피해를 주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. 현재까지 그들의 점유율, 발견율 그리고 자생종이나 생태계에 주는 피해에 대해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. 따라서 우리 는 한국 내 서울, 대전, 광주, 제주 4개의 도시와 그와 인접한 도시들에서 외래거북 과 자생종 거북의 점유율, 발견율을 파악하고자 한다. 총 30,917개 저수지의 토지 이 용도를 이용하여 총 도시별 30개씩(도심저수지 15개, 산림저수지 15개) 총 120개의 저수지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. 조사는 4월부터 6월까지 아침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시각 조사를 이용하여 진행했으며, 조사 시 발견된 거북의 종과 개체수, 조사 시간, 기온, 수온, 습도, 개방수면 면적 등을 기록하였다. 연구 결과 자생거북보다 외래거북 들이 도심저수지와 산림저수지 모두에서 더 높은 점유율과 발견율을 보였다. 자생거 북과 외래거북 모두 기온이 높고, 개방수면 면적이 넓을 때 발견율이 높았으며, 시간 이 지날수록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다. 외래거북들은 낮은 온도와 늦은 시간에서도 발견율이 높았지만, 자생거북의 경우 낮은 모습을 보였다. 우리 연구는 대한민국의 환경이 외래거북이 적응하고 생활하기 적합하며 이는 이후 자생거북의 잠재적 보존 위협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. 이에 따라 외래거북들의 개체군 조절이나 제거 방법 에 관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.

Occupancy and Detection Probability of Exotic Turtles and Native Turtles According to Habitat Type in Korea

Jae-Hyeok Choi

Seung-Min Park

Jung-Gil Ryu

Sang-Ho Son

Young-Min Ko

Ha-Cheol Sung

다운로드 리스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