닫기

로그인

학회지
The Korean Society of Herpotologists

논문검색

홈 - 학회지 - 논문검색

pISSN: 2005-9019

학술발표대회 초록집, (2022)
pp.9~9

- 원격탐사기법을 적용한 붉은귀거북의 시계열적 행동권 추정 -

김지윤

(단국대학교 환경원예·조경학부 녹지조경학전공)

임태양

(단국대학교 환경원예·조경학부 녹지조경학전공)

이세민

(단국대학교 환경원예·조경학부 녹지조경학전공 )

김보민

(단국대학교 환경원예·조경학부 녹지조경학전공 )

송원경

(단국대학교 환경원예·조경학부)

강완모

(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)

외래거북은 방생 등 인위적인 교란을 통해 인공 호소와 같은 새로운 서식지에 정착하기도 한다.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정착하게 된 서식지는 가용 가능한 자원의 풍부도, 공간 경쟁 및 이동 등의 과정이 수반되며 나타난 자연적인 서식지 선택의 결과로 해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. 그러나 외부로의 이입과 이출이 자유롭지 못한 인공 호소와 같은 서식지 내부에서의 이동은 개체의 자율의사를 따른다고 할 수 있다. 따라서 서식지 내에 위치한 다양한 미소서 식지 유형에서의 붉은귀거북의 출현과 이동을 확인하여 붉은귀거북이 선호하는 물리적 환경 유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. 대상지에서 포획된 붉은귀거북(Trachemys scripta) 수컷 3개체에 무선위치추적기를 부착한 후 방사하였다. 주 1회 선조 사법(Line transect method)을 실시하 였다. 호소에 음영지역을 형성하는 수목과 붉은귀거북의 은신 및 먹이활동의 공간이 되는 갈 대(Phragmites communis) 군락과 마름(Trapa japonica), 노랑어리연꽃(Nymphoides peltata), 연 꽃(Nelumbo nucifera) 등 부엽식물 군락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3월, 5월, 7월에 걸쳐 드론 을 사용하여 대상지의 정사영상(RGB)을 촬영하여 붉은귀거북의 주요 출현 구역의 환경 유형 을 특정하고자 하였다. 붉은귀거북의 3개체 중 1개체의 위치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으며 1개체의 위치 정보는 수신할 수 없으며 2개체로부터 각각 2,575건, 38건의 위치 정보를 수신 하였다.

Time Series Habitat Estimates of Red Eared Turtle (Trachemys scripta) Using Remote Sensing Techniques

Ji-youn Kim

Tae-Yang Im

Se-Min Lee

Bo-Min Kim

Wong-Kyong Song

Wan-Mo Kang

다운로드 리스트